원단종류/침구및 패브릭 식물성섬유 원단종류
식물성 섬유의 원단종류입니다.
식물성 섬유(Vegetable fiber)
면(cotton)
![]() 면은 아욱(Mallow)과에 속하며 품종 및 기후에 따라 25cm에서 2m정도 생육한다.
보통 1년생 관목이지만 중남미 일부 지역에서는 다년생 관목인 것도 있다.
면의 성질로는 마찰강도와 내구성이 좋으며 촉감이 좋고 정전기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. 그러나 탄력성이 약해 구김이 잘 간다.
이러한 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와 합성하게 되는데
보통 혼합 비율은 50:50,60:40,70:30으로 혼방한다.(일명 C.V.C, T/C등으로 불리운다.)
면직물의 종류로는 옥스포드,데님 개버린,벨벳등이 있다.
아마(Flax,Leinen)
![]() 식물성섬유/원단종류-사진 (아마)
아마는 1년생 식물로 온난한 기후에서 잘 자라며 면과 더불어 가장 오래된 섬유의 하나이다.
일반적으로 리넨으로 통칭되며 저마 줄기로부터 생산된 라미(Ramie)와 구분된다.
아마는 절연성이 낮아 수분 흡수력이 좋고 빨리 수분을 방출하므로 시원한 촉감을 가지며
주로 여름용 의류 및 침장 제품으로 생산된다.
아마의 성질로는 면과 같이 탄력성이 낮아 쉽게 구겨지며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는다.
그러나 면보다 거칠고 뻣뻣하여 여름용 섬유로 적합하다.
저마(Ramie)
![]() 저마는 저마식물의주 줄기 인피부에서 채취되는 섬유를 말하며매끄럽고 균일하며
내구성이 강하며 잎의 뒤 쪽에 백색의 털이 나있는 것을 백색라미(White Ramie),
녹색의 것을 녹색라미(Green Ramie)라고 부른며
국내에서 생산되는 모시도 저마의 일종이다.
<아마(Lienen)와 저마((Ramie)의 비교>
대마(Hemp)
![]() 대마의 줄기를 사용하며섬유가 굵고 뻣뻣하며
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삼베도 대마의 일종으로
안동지방등 국내에서 생산되는 제품은 품질이 좋아 여름이불과 의복으로 적합하다.
케이폭(Kapok)
![]() 케이폭 열매의 헤어 섬유에서 추출되며 방적이 불가능하여 쿠션이나 매트리스의 충전제로 사용한다. 황마(Jute)
![]() 황마의 줄기에서 추출하며 강도는 아마보다 약하며 부식하기 쉽다.
사이살(Sisal)
![]() 사이살의 잎에서 추출하며 물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여 로프나 그물등에 사용한다. 마닐라(Manila)
![]() 바나나 종류의 잎에서 추출하며 바닷물에 강하고 가벼워 로프나 그물등에 주로 사용한다. 코이어(Coir)
![]() 야자열매 껍질에서 추출하며 강도 및 내구성이 좋아 카펫 및 매트용으로 주로 사용된다
|
'침구,커텐,원단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원단종류/섬유의종류 중 동물성섬유(침구류 원단종류) (0) | 2011.07.05 |
---|---|
침구류 원단종류,패브릭 섬유(원단종류),재생섬유,합성섬유 (0) | 2011.07.05 |
부부침실,로멘틱 부부침실 레드아이템 (0) | 2011.07.03 |
수입침구 사이즈,미국 수입침구 사이즈 및 명칭/라노비아 킹사이즈침대커버 (0) | 2011.03.04 |
사계절이불 커버와 차렵이불 장단점 <차렵이불과 사계절이불 커버 차이점> (0) | 2011.02.04 |